초보 자린이들을 위한 자전거 구매 팁 공유(사이즈, 종류, 입문용 추천)
안녕하세요!
2월의 끝을 향해가면서, 따뜻해지는 날씨에 다들 몸이 근질근질 하실텐데요.
오늘은 와미군이 좋아하는(했던) 자전거 라이딩에 대해 소개할게요!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먼저 내가 어떤 용도로 자전거를 탈 지를 정하는 것이에요.
그에 따라 종류와 예산이 결정될 테니까요.
아주 간단하게 자전거 주행의 예시와 아주 개인적인 속성들을 매칭시켜 보았어요.
어디까지나 제가 주관적으로 분류한 내역이고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TPO | 자출(출퇴근) | 샤방라이딩 (데이트, 마실) |
가벼운 주말운동 |
다소 강한 체력훈련 |
대회용 |
도로특성 | 자전거도로 + 보도블럭 |
공원도로 | 자전거도로 + 차도 |
자전거도로 + 차도 |
자전거도로 + 차도 |
시간(편도) | 30분 내외 | 1시간 내외 | 1.5시간 내외 | 2시간 내외 | 3시간 이상 |
거리(왕복) | 15km | 20km | 40km | 60km | 80km |
종합 관여도 | 중하 | 하 | 중 | 중상 | 상 |
추천 예산 | 50만원 | 100만원 미만 | 100만원 이상 | 2~3백만 | 3백만 이상 |
추천 자전거 종류 |
하이브리드 | 픽시 / 미니벨로 / 전기자전거 |
로드바이크 / 하이브리드 / 전기자전거 |
로드바이크 / MTB(산악) |
TT바이크 (Time Trial) |
사이즈 - 자전거도 저마다의 크기가 있다?
내 몸에 딱 맞는 옷을 입었을 때 몸에 착 감기는 느낌이 드는 것처럼,
내 몸에 알맞은 사이즈의 자전거를 타야 라이딩이 편안해질 수 있어요.
세부적으로는 팔 길이, 인심(inseam, 다리안쪽길이) 등의 요소를 통해 더욱 정확한 사이즈를 잴 수 있지만,
자린이인 여러분들은 대략적인 몸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키를 통해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보통 자전거의 사이즈는 아래 그림의 A, 자전거의 중심축인 시트 튜브(seat tube)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론 커스텀이나 하이엔드 제품의 경우에는 다르겠지만,
보통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수준의 프레임의 경우 시트 튜브의 길이에 따라 나머지 알파벳 수치들이 변경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외제품이 많이 인치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아래 조견표를 참고하시어 본인과 맞는 사이즈를 꼭 찾으세요!
무려 Chat.GPT 가 추천해 준 수치랍니다 하하
키(단위: cm) | 시트튜브 길이 (cm) |
inch (=약 2.54cm) |
155~160 | 41~43 | 16~17 |
160~165 | 43~46 | 17~18 |
165~170 | 46~48 | 18~19 |
170~175 | 48~51 | 19~20 |
175~180 | 51~53 | 20~21 |
180~185 | 53~56 | 21~22 |
185~190 | 56~59 | 22~23 |
무엇이든 중고거래가 활발한 요즘, 내가 원하는 모델과 사이즈까지 찾기란 쉽지 않을 수가 있겠죠.
프레임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늘리거나 줄이기는 어려우나,
내 몸에 좀 더 적합하게 미세조정하는 피팅(fitting)이라는 작업이 있어요. 하지만 이건 다음에 알아볼게요!
자전거의 종류 - 그럼 나는 어떤 자전거를 구입해야 하나?
아무래도 자전거를 처음 타는 분들이나 이제 막 타기 시작한 분들은 주행습관이라던지, 패턴이 아직 정착되지 않았으니
먼저 하이브리드로 입문하고, 로드자전거로 속도를 즐겨보신 후에 이후 취향에 맞는 자전거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드려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전거 종류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았어요!
너무 양이 많다 보니, 급하신 분들은 다시 위로 올라가 제가 정리한 표를 통해서 한눈에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로드 자전거 (Road Bike)
- 주로 도로 주행에 사용되는 자전거
- 가벼운 무게와 슬림한 디자인, 좁은 핸들바로 고속 주행이 가능
- 큰 기어를 가지고 있어 빠른 주행에 유리하며, 긴 거리 주행에 적합
마운틴 바이크 (MounTain Bike)
- 산악자전거로, 불규칙한 지형에서의 주행을 위해 설계됨
- 두꺼운 타이어와 좁은 핸들바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
- 다양한 기어를 가지고 있어 등산 및 산악 경로에서 주행이 가능
하이브리드 자전거 (Hybrid Bike)
- 로드 자전거와 마운틴 바이크의 특성을 결합한 자전거
- 안정적인 프레임과 넓은 타이어로, 도로 및 산악 지형에서 모두 주행 가능
- 자전거 타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자전거
팻바이크 (Fat Bike)
- 아주 두꺼운 타이어를 가진 자전거로, 눈과 모래, 그리고 어려운 지형에서 주행 가능
-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TT바이크 (Time Trial Bike)
- 시간을 측정하는 자전거 경주에서 사용되는 자전거로, 고속 주행에 적합
- 좁은 핸들바와 특수한 디자인으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더욱 빠른 주행 가능
미니벨로 (Mini Velo)
- 작은 크기의 바퀴를 가진 자전거로, 도심에서 주행하기 적합
- 저장 및 운반이 쉬우며, 가격이 합리적 (하이엔드급은 논외)
픽시바이크 (Fixed Gear Bike)
- 고정 피드 기어를 가지고 있는 자전거로, 페달을 멈추면 바퀴도 멈추는 특징이 있음
- 브레이크가 없어 주행이 어렵고, 주행 경험이 필요한 자전거
다들 안전한 라이딩하세요~~
'와미의 일상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2C 소비재 마케팅 직무 2탄(관련부서, TM, SCM, 매출분석, 판촉전략, 생산계획) (0) | 2023.07.24 |
---|---|
내가 보려고 기록해두는 디지털마케팅 용어(축약어, CPM, CTR, CVR, CPC, 성과지표) (0) | 2023.06.27 |
9년차 마케터 이직성공기(2) - 경쟁력 분석, 커리어 목표, 채용 플랫폼 이용후기 (0) | 2023.02.09 |
9년차 식품 마케터의 이직성공기(1) - 이직사유, 동기부여, 경력기술서, 비즈니스 이메일 (1) | 2023.02.07 |
WPI WPC 차이 비교? 단백질 보충제 종류(유청단백질, WPH, BCAA) (1)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