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비재마케팅 3

FMCG 소비재 마케팅 NPD 프로세스 소개 - 조직별 상세 역할 (마케팅, 연구개발, 생산)

FMCG 소비재 마케터, 브랜드매니저라면 반드시 빠삭하게 알아야 할 NPD 프로세스에 대해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사업을 이끌어가는 신상품의 힘! 함께 살펴보시죠    FMCG 소비재 마케팅 NPD 프로세스 소개 - 조직별 상세 역할 (마케팅, 연구개발, 생산) 목차   1. Generation (아이디어 제안) 2. Concept Validation (컨셉 검증) 3. Product Validation (생산 검증) 4. Launching Plan (출시계획 수립)추천글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들어가기 전에 - FMCG 산업, 소비재 마케팅에서 신제품 개발이 중요한 이유! 시장 변화 대응: FMCG 산업은 소비자 트렌드와 선호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역이죠..

FMCG 마케팅 직무 소개 (브랜드매니저, S&OP, NPD)

오늘은, 소비재 마케터에게 중요한 월간 업무 중 하나인 S&OP(판매-수급 점검)와, 조직마다 그 주기가 상이하긴 하지만 제품담당 브랜드매니저로서 항상 신경써야 할 NPD(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에 대해 알아볼게요. FMCG 마케팅 직무 소개 (브랜드매니저, S&OP, NPD) 목차 1. 수요와 공급 사이 그 어딘가 2. 성수기를 앞둔 어느 날의 S&OP 회의 3. NPD(New Product Development) 란? 4. NPD 프로세스 이전글 수요와 공급 사이 그 어딘가 처음 브랜드매니저의 직무에 대해서 알아볼 때,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 그 이후까지 챙기는 것이 FMCG 마케터의 직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그 중에서도 월간 수급 상황을 점검하는 S&OP 는 전체 사이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

B2C 소비재 마케팅 직무 2탄(관련부서, TM, SCM, 매출분석, 판촉전략, 생산계획)

B2C 소비재 마케팅 직무소개 2탄(TM, SCM, 매출분석, 판촉전략, 생산계획) 안녕하세요? 와미군입니다. 오늘은 B2C 소비재 PM, BM이라면 꼭 필수로 알아두어야 할, 회사에서 루틴하게 진행되는 업무들과 협업부서들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연 / 분기 / 월 / 주 / 일별로 나누어서 꼼꼼하게 알아볼 테니, 마케터가 되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시고 본인의 회사생활을 그려보시기 바라요! (물론 산업별로, 회사별로, 조직별로 다를 수 있는 점. 알고 계시죠?) 매일 진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업무 - 상품/경로별 매출 분석, POS 데이터 확인 가장 먼저 등장하는 단어가 매출이라니! 놀라신 분들도 있을 거예요. 앞서 1부 글에서도 소개드렸지만, 근본적으로 마케터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담당제품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