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내용을 설명하는 두줄 내지 3줄 정도의 글이 첫 문단인 여기에 와야 합니다. 여기에는 키워드 또한 반드시 적혀 있어야 합니다. 검색엔진에서 검색결과 글 내용의 일부를 보여주는데, 바로 여기 첫 문단의 글이 보통 노출이 됩니다.

노베이스 문과 기획자를 위한 파이썬 독학 1주차 - 파이썬 기초 및 설치(VS Code), 조건문/반복문
목차
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파이썬 기초 및 설치(VS Code)
파이썬의 역사와 특징
- 파이썬은 1991년에 네덜란드의 프로그래머인 귀도 반 로섬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예요.
- 파이썬은 문법이 간단하고 읽기 쉬워서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어요.
- 파이썬은 웹사이트 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요.
파이썬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유
- 간결하고 읽기 쉬운 문법: 문법이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어요. 코드가 읽기 쉽고 명확해서 유지보수도 용이해요.
- 풍부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해서 개발자가 쉽게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웹 개발을 위한 Django와 Flask, 데이터 분석을 위한 Pandas와 Numpy, 인공지능을 위한 TensorFlow와 PyTorch 등이 있어요.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구분 라이브러리 (Library) 프레임워크 (Framework) 개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잡아주는 틀 주도권 개발자가 주도권을 가지고 필요할 때 호출해서 사용 프레임워크가 주도권을 가지고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호출 사용 방식 개발자가 필요할 때 함수나 클래스를 호출 프레임워크가 정한 방식에 따라 코드를 작성하고 호출됨 예시 Pandas, Numpy, Matplotlib Django, Flask 유연성 특정 기능을 필요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 정해진 구조와 규칙을 따라야 함 학습 곡선 상대적으로 낮음 상대적으로 높음 통합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조합해서 사용 가능 프레임워크 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주로 사용 - 크로스 플랫폼 지원: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작해요. 따라서 한 번 작성한 코드를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 유연성과 확장성
활발한 커뮤니티와 풍부한 자료:
- 파이썬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어서 커뮤니티가 매우 활발해요.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나 도움을 쉽게 구할 수 있어요. Stack Overflow, GitHub, 공식 문서 등에서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어요.
파이썬 설치
- 파이썬 다운로드 및 설치
- Python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 후, 메뉴에서 "Downloads"를 클릭하고,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설치 과정에서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체크한 후 설치를 완료
- 설치 확인
- 터미널(또는 명령 프롬프트)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데요,
python --version
이 때 아래 사진처럼 파이썬 버전이 출력되면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 터미널(또는 명령 프롬프트)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데요,

Visual Studio Code (VS Code) 설치
- VS Code 다운로드 및 설치
- Visual Studio Code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VS Code는 간단하게 생각해서 코딩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는 메모장 같은 것이라고 보면 돼요!
- Visual Studio Code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파이썬 확장 설치
- VS Code를 실행합니다.
- 좌측 사이드바에서 "Extensions" 아이콘(또는 Ctrl+Shift+X 단축키)을 클릭합니다.
- 검색창에 "Python"을 입력하고,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Python 확장을 설치합니다.

VS Code에서 파이썬 환경 설정
- 파이썬 인터프리터 설정
- VS Code에서 새 파일을 열고, 파일 확장자를 .py로 저장합니다.
- 우측 하단의 "Python"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설치된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선택합니다.
- 터미널 설정
- VS Code에서 터미널을 열려면 상단 메뉴에서 "Terminal" > "New Terminal"을 클릭합니다.
- 터미널에서 'python'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실행되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하여 종료합니다.

3. 간단한 파이썬 코드 실행
- 새 파이썬 파일(.py)을 생성하고, 다음과 같은 간단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대망의 첫 명령어!
print("Hello, World!")
- 터미널에 "Hello, World!"가 출력되면, VS Code에서 파이썬 환경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뜻이죠.
4. 추가 설정 (선택 사항) - Linting 및 코드 포매팅
- VS Code에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할 때 코드 품질을 높이기 위해 Linting 도구와 코드 포매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Linting 도구로는 pylint가 있으며, 코드 포매터로는 black이 있습니다.
-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pylint와 black을 설치합니다.
pip install pylint black
- 설치 후, VS Code 설정 파일(settings.json)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합니다.
{ "python.linting.pylintEnabled": true, "python.linting.enabled": true, "editor.formatOnSave": true, "python.formatting.provider": "black" }
자, 이제 VS Code에서 파이썬 코드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보시죠!
기본문법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에요. 예를 들어, 숫자나 문자열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어요.
변수를 만들 때는 = 기호를 사용해서 값을 할당해요.
-
a = 10 # a라는 변수에 10을 저장해요. b = 3.14 # b라는 변수에 3.14를 저장해요. c = "Hello, Python!" # c라는 변수에 문자열을 저장해요. d = True # d라는 변수에 참(True)을 저장해요.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유형은 크게 네 가지인데요.
- 정수 (int): 정수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예요. 예를 들어, 10, -5, 0 등이 있어요.
- 실수 (float): 실수는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예요. 예를 들어, 3.14, -2.5, 0.0 등이 있어요.
- 문자열 (str):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이에요. 예를 들어, "Hello", "Python", "123" 등이 있어요.
- 불리언 (bool): 불리언은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내는 값이에요.
print(type(a)) # <class 'int'>: a는 정수예요.
print(type(b)) # <class 'float'>: b는 실수예요.
print(type(c)) # <class 'str'>: c는 문자열이에요.
print(type(d)) # <class 'bool'>: d는 불리언이에요.
자료형 변환
파이썬에서는 자료형을 변환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할 수 있어요
e = str(a) # 정수 a를 문자열로 변환해요.
f = int("123") # 문자열 "123"을 정수로 변환해요.
g = float("3.14") # 문자열 "3.14"를 실수로 변환해요.
h = bool(1) # 정수 1을 불리언으로 변환해요.
print(type(e), type(f), type(g), type(h))
기본 연산자: 기본적인 연산을 도와줘요
- 산술 연산자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몫: //
- 나머지: %
- 거듭제곱: **
x = 15 y = 4 print(x + y) # 19: 15 + 4 print(x - y) # 11: 15 - 4 print(x * y) # 60: 15 * 4 print(x / y) # 3.75: 15 / 4 print(x // y) # 3: 15를 4로 나눈 몫 print(x % y) # 3: 15를 4로 나눈 나머지 print(x ** y) # 50625: 15의 4제곱
- 비교 연산자
- 같음: ==
- 다름: !=
- 큼: >
- 작음: <
- 크거나 같음: >=
- 작거나 같음: <=
print(x == y) # False: 15는 4와 같지 않아요. print(x != y) # True: 15는 4와 달라요. print(x > y) # True: 15는 4보다 커요. print(x < y) # False: 15는 4보다 작지 않아요. print(x >= y) # True: 15는 4보다 크거나 같아요. print(x <= y) # False: 15는 4보다 작거나 같지 않아요.
- 논리 연산자
- 논리 AND: and
- 논리 OR: or
- 논리 NOT: not
print(x > 10 and y < 5) # True: 15는 10보다 크고, 4는 5보다 작아요. print(x > 10 or y > 5) # True: 15는 10보다 크지만, 4는 5보다 작아요. print(not (x > 10)) # False: 15는 10보다 크므로, not 연산자는 이를 반대로 만들어요.
조건문과 반복문
- 조건문
- if 문: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코드를 작성해요.
age = 20 if age >= 18: print("성인입니다.") # age가 18 이상이면 "성인입니다."를 출력해요.
- if-else 문: 조건이 참일 때와 거짓일 때 각각 실행할 코드를 작성해요.
age = 16 if age >= 18: print("성인입니다.") # age가 18 이상이면 "성인입니다."를 출력해요. else: print("미성년자입니다.") # age가 18 미만이면 "미성년자입니다."를 출력해요.
- if 문: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코드를 작성해요.
-
- if-elif-else 문: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해서 각각의 조건에 맞는 코드를 실행해요.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 학점") # score가 90 이상이면 "A 학점"을 출력해요. elif score >= 80: print("B 학점") # score가 80 이상 90 미만이면 "B 학점"을 출력해요. elif score >= 70: print("C 학점") # score가 70 이상 80 미만이면 "C 학점"을 출력해요. elif score >= 60: print("D 학점") # score가 60 이상 70 미만이면 "D 학점"을 출력해요. else: print("F 학점") # score가 60 미만이면 "F 학점"을 출력해요.
- if-elif-else 문: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해서 각각의 조건에 맞는 코드를 실행해요.
-
- 중첩 if 문: if 문 안에 또 다른 if 문을 작성해서 조건을 중첩시킬 수 있어요.
num = 10 if num > 0: print("양수입니다.") # num이 0보다 크면 "양수입니다."를 출력해요. if num % 2 == 0: print("짝수입니다.") # num이 짝수이면 "짝수입니다."를 출력해요. else: print("홀수입니다.") # num이 홀수이면 "홀수입니다."를 출력해요. else: print("음수입니다.") # num이 0보다 작으면 "음수입니다."를 출력해요.
- 중첩 if 문: if 문 안에 또 다른 if 문을 작성해서 조건을 중첩시킬 수 있어요.
- 반복문
- for 문: 주어진 범위나 시퀀스(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를 반복해요.
for i in range(5): print(i) # 0부터 4까지의 숫자를 출력해요.
- range() 함수 사용: range(start, stop, step) 형태로 사용해서 반복 범위를 지정할 수 있어요.
for i in range(1, 10, 2): print(i) # 1부터 9까지 2씩 증가하는 숫자를 출력해요.
- 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 반복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 리스트의 각 과일 이름을 출력해요.
- while 문: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해요.
count = 0 while count < 5: print(count) # count가 5보다 작을 때까지 count를 출력해요. count += 1 # count를 1씩 증가시켜요.
- break와 continue
- break: 반복문을 중단하고 빠져나와요.
- continue: 현재 반복을 중단하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요.
for i in range(10): if i == 5: break # i가 5일 때 반복문을 중단해요. print(i) # 0부터 4까지의 숫자를 출력해요.
for i in range(10): if i % 2 == 0: continue # i가 짝수일 때 현재 반복을 중단하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요. print(i) # 홀수만 출력해요.
- for 문: 주어진 범위나 시퀀스(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를 반복해요.
실습예제
다음의 빈칸을 채워보세요! 정답은 문제 아래에 하얀 글씨로 쓰여 있으니, 드래그해서 보시면 됩니다.
a = ___ # 정수
b = ___ # 문자열
c = ___ # 실수
a = 5, b = "Python", c = 2.71
x = 42 # 자료형: ___
y = "Hello" # 자료형: ___
z = 3.14159 # 자료형: ___
is_valid = False # 자료형: ___
x = int, y = str, z = float, is_valid = bool
print(7 + 3) # ___
print(7 - 3) # ___
print(7 * 3) # ___
print(7 / 3) # ___
print(7 % 3) # ___
print(2 ** 4) # ___
7 + 3 = 10, 7 - 3 = 4, 7 * 3 = 21, 7 / 3 = 2.3333333333333335, 7 % 3 = 1, 2 ** 4 = 16
print(8 > 6) # ___
print(8 < 6) # ___
print(8 == 6) # ___
print(8 != 6) # ___
print(8 >= 6) # ___
print(8 <= 6) # ___
8 > 6 = True, 8 < 6 = False, 8 == 6 = False, 8 != 6 = True, 8 >= 6 = True, 8 <= 6 = False
print(True and True) # ___
print(False or True) # ___
print(not False) # ___
True and True = True, False or True = True, not False = True
y = 7
if y < 10:
print("y는 10보다 작습니다.")
elif y == 10:
print("y는 10입니다.")
else:
print("y는 10보다 큽니다.")
y < 10 = "y는 10보다 작습니다.", y == 10 = "y는 10입니다.", y > 10 = "y는 10보다 큽니다."
for i in range(3):
print("반복 횟수:", ___)
for i in range(3): print("반복 횟수:", i)
j = 0
while j < 3:
print("현재 값:", ___)
j += 1
j = 0, while j < 3: print("현재 값:", j), j += 1
오늘은 파이썬의 기초부터 실행을 위한 VS Code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장 기본이 되는 변수와 유형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예제를 통해서 우리 함께 공부해봐요!
이전글
노베이스 문과 기획자를 위한 파이썬 독학 - prologue (프로그래밍 언어와 철학)
노베이스 문과 기획자를 위한 파이썬 독학 - prologue (프로그래밍 언어와 철학)
나름 AI 관련된 일을 하고도 있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서도 또 공부하고 있지만, 그럴수록 개발지식에 대한 인풋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이번엔 저같은 문돌이 기획자들을 위한
meant2b-wami.tistory.com
노베이스 문과아재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독학(1) - 기본 개념
노베이스 문과아재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독학(1) - 기본 개념
생성형 AI 들과 보다 원활하게 대화하기 위한 기술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라는 것이 있다고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저는 그 당사자인 챗GPT로부터 도움을 받아, 오늘부터 프롬프
meant2b-wami.tistory.com
'와미의 일상 > AI 정복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베이스 문과 기획자를 위한 파이썬 독학 - prologue (프로그래밍 언어와 철학) (3) | 2024.09.15 |
---|---|
노베이스 문과아재인 내가 이 세계에선 AI 마스터..? (학습과 파인튜닝) (1) | 2023.12.06 |
노베이스 문과아재인 내가 이 세계에선 AI 마스터..? (GPT 모델 이해) (2) | 2023.12.05 |
노베이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독학(3) - 데이터 유형별 프롬프트 활용 (1) | 2023.11.27 |
노베이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독학(2) - 프롬프트 디자인 (2) | 2023.11.23 |